하마롱크의 블로그
GKE - 클러스터 유형 본문
GCP 문서를 참고하여 GKE(Google Kubernetes Engine)의 클러스터 유형에 대해 정리해보았다.
GKE 클러스털르 생성할 때, 클러스터의 유형 등 다양한 부분에 대해 선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클러스털를 만든 후에는 선택사항을 변경할 수 없으므로, 클러스터 생성시 선택사항을 잘 선택해야 한다. 이러한 선택사항은 가용성, 버전안전성, 네트워크에 영향을 미친다.
클러스터 관리 수준
생성하는 클러스터에 필요한 유연성, 책임, 제어의 수준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필요한 제어 수준에 따라 GKE에서 사용할 작업 모드와 필요한 클러스터 구성을 결정할 수 있다.
GKE에는 Autopilot과 표준 작업모드가 있다.
- Autopilot 모드: 완전 프로비저닝되는 관리형 클러스터 구성을 제공하며, 옵션이 자동으로 생성된다. 그리고 프로덕션 워크로드에 사용할 수 있는 최적화된 클러스터 구성으로 사전 구성된다.
- 표준 모드: 클러스터의 기본 인프라에 대한 고급 구성 유연성을 제공하며, 프로덕션 워크로드에 필요한 구성이 결정된다.
클러스터 구성 선택사항
선택한 작업모드에 따라서 클러스터에 필요한 구성을 선택한다. Autopilot 모드에서는 대부분 자동으로 생성되며, 표준 모드에서는 프로덕션 워크로드에서 가장 적합한 구성을 선택한다.
클러스터 가용성 유형
- 단일 영역 클러스터: 영역 하나에서 실행되는 단일 제어 영역이 있으며, 동일한 영역에서 실행되는 노드의 워크로드를 관리한다.
- 다중 영영 클러스터: 다중 영역 클러스터에는 단일 영역에서 실행되는 단일 제어 영역 복제본과 여러 영역에서 실행되는 노드가 있다. 클러스터를 업그레이드하는 동안이나 특정 영역이 중단되는 경우에도 워크로드는 계속 실행된다.
- 리전 클러스터: 제어 영역의 여러 복제본이 있으며 리전 내의 여러 영역에서 실행되며, 노드는 구성된 노드 위치에 따라 다중 영역 또는 단일 영역에서 실행된다. 기본적으로 GKE는 제어 영역 리전의 3개 영역 간에 각 노드 풀을 복제하며, 클러스터의 노드가 실행되는 영역을 지정할 수 있다. 그리고 영역 클러스터보다 높은 가용성을 제공한다.
클러스터 버전
- 출시 채널: 지정된 클러스터에 필요한 안정성 수준을 알고 있는 경우에는 클러스터를 출시 채널에 등록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새 클러스터는 일반 출시 채널에 등록된다. 해당 출시 채널에서 업데이트가 제공되면 클러스터와 클러스터 노드를 자동으로 업그레이드한다.
- 특정 버전: 특정 워크로드를 지원하는 특정 쿠버네티스 버전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 클러스터 생성 시 버전을 지정할 수 있다. 특정 패치 버전을 제어할 필요가 없는 경우 버전을 직접 관리하는 대신 출시 채널에 클러스터를 등록하는 것이 좋다.
- 기본 버전: 출시 채널에 클러스터를 등록하는 대신, 정적 버전을 사용하고 클러스터에 특정 버전을 설정하지 않는 경우 현재 기본 버전이 사용된다. 기본 버전은 사용량과 실제 성능을 기준으로 선택되며 정기적으로 변경된다.
클러스터 네트워킹
- VPC 기반 및 경로 기반 클러스터: GKE에서는 한 Pod에서 다른 Pod로 트래픽을 라우팅하는 방법에 따라 클러스터를 구분할 수 있다. 별칭 IP를 사용하는 클러스터를 VPC기반 클러스터라고 하며, Google Cloud 경로를 사용하는 클러스터를 경로기반 클러스터라 한다. 새 클러스터에는 VPC 기반 클러스터가 권장된다.
- 네트워크 격리 사항: 기본적으로 공개 네트워크에서 클러스터의 워크로드의 액세스를 구성할 수 있다. 비공개 클러스터에서는 내부 주소를 Pod 및 노드에 할당하며 워크로드가 공개 네트워크와 완전히 격리된다.
출처
https://cloud.google.com/kubernetes-engine/docs/concepts/types-of-clusters?hl=ko#availability
클러스터 유형 | Kubernetes Engine 문서 | Google Cloud
의견 보내기 클러스터 유형 이 페이지에서는 Google Kubernetes Engine(GKE)에서 만들 수 있는 클러스터의 기본 유형을 설명합니다. 일반적으로 클러스터를 만든 후에는 여기서 설명한 선택사항을 변경
cloud.google.com
'Kubernet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쿠버네티스 핵심 기능 (0) | 2021.11.03 |
---|---|
GKE - 비공개 클러스터(Private Cluster) (0) | 2021.11.01 |
쿠버네티스 볼륨(Kubernetes Volume) (0) | 2021.10.25 |
쿠버네티스 배포(Kubernetes Deployment) (0) | 2021.10.24 |
쿠버네티스 리소스관리 (0) | 2021.1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