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마롱크의 블로그
게이트웨이 본문
- 원격지 네트워크와의 통신에 사용하는 장비를 게이트웨이라 부른다.
- 원격 네트워크 통신에서 네트워크를 넘어 전달되지 못하는 브로드캐스트의 성질때문에 장비의 도움이 필요하며 이 장비를 게이트웨이(Gateway)라 한다.
- 게이트웨이에 대한 정보를 PC나 네트워크 장비에 설정하는 항목이 기본 게이트웨이이다.
게이트웨이의 용도

- 기본 게이트웨이는 3계층 장비가 수행하며 여러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적절한 경로를 지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 출발지와 목적지 네트워크가 동일한 LAN 내에서 통신하는 것인지 다른 네트워크 간의 통신인지에 따라 통신 방식이 달라지기에 먼저 목적지의 범위를 서브넷 마스크를 이용해 확인해야 한다.
⇒ 서브넷 마스크와 자신의 IP를 주소를 AND 연산해 나오는 값이 네트워크 주소를 확인할 수 있다.
- 원격지 통신은 ARP 가 라우터를 넘어가지 못하는 브로드캐스트이기에 게이트웨이라는 장비를 사용해야 한다.
2계층 통신 VS 3계층 통신

- 3계층 통신: 원격지 네트워크 통신
원격지 네트워크와 통신해야 할 경우 라우터와 같은 3계층 장비의 도움이 필요하기 때문에 해당 패킷을 전송하는 네트워크 장비에서 3계층 정보까지 확인해야 하며 이를 3L 통신이라 부른다.
도착지 MAC주소와 IP주소가 다르다. 도착지 IP주소는 실제 도착지이고 도착지 MAC 주소는 디폴트 게이트웨이의 MAC 주소가 사용된다.
- 2계층 통신: 로컬 네트워크 통신
로컬 네트워크에서 직접 통신할 경우 라우터와 같은 3계층 장비없이도 통신이 가능하다. 그래서 2계층까지만 정보를 확인 후 ARP 요청을 보낼 때 직접 브로드캐스트를 이용하기에 이를 L2 통신이라 부른다.
<참고문헌>
IT 엔지니어를 위한 네트워크 입문